최근 AI 기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빠르게 부상하면서, AI x Web3 융합을 지향하는 플랫폼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웨이파인더(PROMPT)는 AI 모델을 토큰화하여 누구나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인공지능 네트워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웨이파인더는 빗썸에 신규 상장되며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이미 글로벌 거래소 OKX에도 상장되어 안정적인 유동성과 거래 환경을 제공합니다. 지금 OKX에서 PROMPT를 거래하면 수수료 20% 할인 혜택도 누릴 수 있으니 아래 링크를 꼭 확인하세요!
그렇다면, 웨이파인더 코인의 구조와 특징,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웨이파인더(PROMPT)란?
웨이파인더는 AI 모델을 블록체인에 올려 탈중앙화된 AI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사용자는 PROMPT 토큰을 통해 AI 모델을 호출하거나 보상받을 수 있으며, 이는 AI와 Web3의 융합을 실현하는 핵심 수단이 됩니다.
웨이파인더는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과 툴킷을 모듈화된 형태로 제공하며, AI 모델 크리에이터와 사용자를 직접 연결하는 생태계를 구성합니다.
📊 시가총액: ₩512.89억
🔄 24시간 거래량: ₩107.43억
🪙 총 공급량: 1,000,000,000 PROMPT
📦 유통 공급량: 245,000,000 PROMPT
📈 FDV (총 희석 시 시가총액): ₩2,093.21억
2. 웨이파인더(PROMPT) 코인의 주요 특징
(1) AI 모델의 블록체인화
웨이파인더는 기존 중앙화된 AI 서비스와 달리, AI 모델을 블록체인 위에서 운영합니다. 누구나 AI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으며, 보상도 받을 수 있는 구조는 기존 AI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접근입니다.
(2) 유틸리티 토큰 PROMPT
PROMPT는 웨이파인더 생태계의 핵심입니다. 모델 호출 비용, 보상 지급, 생태계 투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AI x 블록체인 통합의 실질적 동력으로 작동합니다.
(3) 오픈소스 + 모듈화 구조
AI 모델들을 모듈화해 재사용과 조합이 가능하게 했으며, 누구나 기여할 수 있는 오픈소스 생태계를 지향합니다. 이는 개발자 참여도를 높이고 빠른 확장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4) 거래소 상장 및 유동성
현재 OKX, 빗썸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OKX를 통해 PROMPT 코인을 거래할 경우 수수료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웨이파인더(PROMPT) 코인의 장단점
3-1. 장점
✅ AI와 Web3의 융합: 미래 산업의 핵심 융합 모델
✅ 개방형 AI 생태계: 누구나 참여 가능한 구조
✅ 유틸리티 토큰 구조 명확: 실질적 활용 기반
✅ OKX 거래 가능: 글로벌 유동성 확보
3-2. 단점
❌ AI 산업과 블록체인 모두 고변동성 산업
❌ AI 모델 품질 및 검증 문제
❌ 유사 경쟁 프로젝트 존재 (Fetch.AI, SingularityNET 등)
❌ 초기 생태계 확장 속도 지켜봐야 함
4. 웨이파인더(PROMPT) 코인의 향후 전망
4-1. 단기 전망 (1일~1주)
PROMPT는 2025년 5월 20일 기준으로 빗썸에 상장된 직후 거래량이 급증한 상태입니다. 신규 상장은 일반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크고, 초기 유입 자금의 흐름에 따라 과도한 상승 후 조정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현재 PROMPT는 OKX와 빗썸 양 거래소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어, 초기 투자자 이익 실현 → 신규 매수세 유입의 흐름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단기 반등 구간으로 볼 수 있으나, 급등 직후인 만큼 과매수 상태일 수 있으며, 저점 지지 구간을 확인한 뒤 진입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4-2. 중기 전망 (1~3개월)
PROMPT의 핵심은 AI 모델의 토큰화입니다. 이 구조가 실제로 개발자, 크리에이터,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수익 모델로 작용하느냐가 관건입니다.
- 현재 GitHub 상의 오픈소스 코드와 개발 진행 상황, AI 모듈화 수준 등을 기준으로 프로젝트 진정성은 확인된 편입니다.
- 파트너십 체결 및 SDK 배포 일정이 6월~7월 사이 예고돼 있어, 이 시기에 맞춰 한 차례 더 상승 랠리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OKX와 빗썸 동시 상장은 큰 장점이며, 글로벌 유저 유입이 지속된다면 가격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3. 장기 전망 (6개월~1년 이상)
장기적으로는 PROMPT가 구축하고자 하는 ‘탈중앙 AI 생태계’가 시장 내 몇 안 되는 유효한 미래 전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 기존 중앙화된 AI 서비스(GPT, Google Gemini 등)와 차별화된 구조
- Web3 기반 보상 모델이 AI 크리에이터의 동기 부여로 작동할 수 있음
- AGI(범용 인공지능) 개발로 향하는 중간 단계로서의 유의미한 포지션
또한, Web3-AI 융합을 지향하는 메가 트렌드는 아직 시작 단계로, PROMPT와 같은 구조가 향후 1~2년간 지속적으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 해당 생태계의 실제 사용자 수 증가와 파트너사 유입 여부가 관건입니다.
5. 웨이파인더(PROMPT) 기술적 분석
2025년 5월 20일 기준, PROMPT의 가격은 약 ₩1,340 수준에서 거래 중입니다. 상장 직후 가격 급등이 있었고, 현재는 초기 조정 후 재정비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해당 분석은 okx 차트로 분석된 내용이며 직관성을 위해 달러가 아닌 원으로 표시하였습니다.)
5-1. 이동평균선(EMA/MA) 분석 (4시간 차트 기준)
- EMA20 (단기): ₩1,295
- EMA50 (중기): ₩1,210
- EMA200 (장기): ₩980
📌 현재 가격은 EMA20 위에 있으며 EMA50과의 골든크로스 이후 재돌파 시도 중입니다. 이는 단기 강세 흐름 재진입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다만, EMA200과의 괴리가 크므로 기술적 과열 신호도 동시에 존재합니다.
5-2. 볼린저밴드
- 중심선 기준 상단 밴드 돌파 후 조정 중
- 현재는 중심선 부근에서 지지 테스트 중 (약 ₩1,320 수준)
📌 밴드가 벌어지는 확산 국면으로, 큰 추세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 단, 중단선(20일 기준선)을 이탈하면 단기 하락 위험성 있음.
5-3. RSI (상대강도지수)
- 현재 RSI: 61.4
- 과매수 기준(70) 직전에서 한차례 눌림
📌 RSI가 70 부근까지 올랐다가 하향 안정화되는 흐름으로, 건강한 상승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RSI 50 아래로 떨어질 경우 상승 추세가 약화될 수 있습니다.
5-4. MACD (이동평균 수렴/확산 지표)
- MACD선이 Signal선을 하단에서 상향 돌파 (상승 전환 시그널)
- 히스토그램 양봉 전환 초기 단계
📌 MACD는 중기 상승 추세 전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기 눌림 이후 반등 탄력이 관건입니다.
5-5. 기술적 결론 및 진입 전략 제안
구분 | 가격 | 범위전략 |
1차 지지선 | ₩1,250 | 눌림목 매수 구간 가능성 |
1차 저항선 | ₩1,380 | 단기 돌파 시 추가 상승 여지 |
2차 저항선 | ₩1,490 | 상장 초기 고점 부근으로 강한 저항 예상 |
기술적 타이밍 | RSI 55~60 / MACD 양전환 | 신중한 분할 매수 전략 유효 |
💡 장기 보유자는 1,200~1,300원 구간에서의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며, 단기 트레이더는 1,380원 돌파 시 단기 매수 후 이익 실현 전략 고려 가능합니다.
💡 투자 결정은 개인의 책임이며, 본 답변은 어떠한 형태로도 재정적 조언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예측 불가능한 요인이 많으므로, 최신 정보와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신중한 의사결정을 하시길 바랍니다.
OKX 수수료 할인 가입링크
▷ 가입 혜택 : 거래수수료 20% 할인
▷ Referral Code : 9629757 (할인링크 접속이 아닌 어플이나 홈페이지로 가입 시 직접 입력해야함 )
'코인 분석(소개 및 장단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켓네트워크(POKT) 전망|특징, 장단점 완벽 정리 (0) | 2025.06.02 |
---|---|
쑨(Soon) 코인 빗썸 상장 확정! 투자 전에 꼭 알아야 할 정보 (0) | 2025.05.23 |
리스크 코인(LSK) 전망|특징, 장단점 완벽 정리 (1) | 2025.05.13 |
세이프 코인(SAFE) 전망|특징, 장단점 완벽 정리 (0) | 2025.05.08 |
시빅(CVC) 코인이란? 특징, 장단점, 전망 (0) | 2025.04.29 |